본문 바로가기
주식시장별곡

증시! 2021년 대부분의 기업들이 성장주가 된다. 수출기저효과를 보자

by lovefund이성수 2020. 11. 11.

증시! 2021년 대부분의 기업들이 성장주가 된다. 수출기저효과를 보자

오늘 관세청의 '20년 11월 1일~ 11월 10일 수출입 현황' 보도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출입동향 자료이기에 한국에서 매 10일 단위로 발표되는 이 자료는 글로벌 경기를 예상하는 선행자료 성격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자료를 보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년에 수출이 턴어라운드 되어서 2019년 혹은 2018년 수준까지 회복한다면 기업들 실적은 얼마나 늘어날까? 그리고 주가는?

 

 

ㅇ 지난 여름 이후 빠르게 회복 중인 한국 수출

 

코로나 팬데믹이 지난 봄 세계 경제를 강타하면서 4월과 5월 전년대비 -20%대 급감했던 수출은 6월부터 급격히 회복하다가 9월 드리어서는 전년비 7.6%증가 그리고 11월 1~10일까지의 일평균 수출은 전년비 12.1%증가하면서 턴어라운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2020년 월별 수출 전년동기비, 자료참고 : 관세청]

 

정말 빠른 수출 회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지난 봄 코로나 최악의 상황 때에는 전 세계가 도시 봉쇄라는 결정적인 선택을 내릴 정도였지만, 여름 이후로는 "코로나로 죽는 것보다 굶어죽겠다"는 분위기가 만들어지면서 많은 부분 경제활동이 재개되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한국의 수출도 빠르게 회복하고 있고 , 필자는 매 10일 단위마다 발표되는 관세청 보도자료가 기다려질 정도로 빠르게 올라오는 모습이 참으로 보기 좋습니다.

 

그런데 만약 2021년 백신이 보급되고 전 세계 경제가 정상으로 돌아간다면 기업들의 수출은 어느정도로 회복될지 궁금했습니다. 올해 워낙 안좋았다보니 기저효과 속에 내년 수출 전년대비 급증은 자명한하긴 합니다.

 

 

ㅇ 최소 2019년 정도, 2018년 정도로 수출이 회복된다면, 서프라이즈한 수출성장!

 

[2021년 수출이 19년 혹은 18년 수출 수준을 회복시 20년대비 수출증가율]

 

그래서 2021년 수출이 회복되어 2019년 또는 2018년 수준까지 수출이 올라올 경우 2020년 대비 기저효과에 따른 수출 증가율을 월단위로 추정 해 보았습니다.

시대적으로 2018년부터 미국이 중국에 대한 경제보복을 시작하면서 수출이 주춤주춤 해 지기 시작하였고, 2019년에는 노골적으로 수출이 감소하면서 2019년은 2018년대비 -11%수출 감소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리고 2018년은 5.5%증가하였었지요.

(※ 연도별 수출증감률 : 2017년 17.8%. 2016년 -5.9%, 2015년 -8%, 2014년 +2.3%, 2013년 +2.1%, 2012년 -1.3%)

 

비교를 위해 10월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2020년 수출과 비교하여보았습니다.

첫번째로 만약 2021년 수출이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될 경우 어느 정도 수출 증감률을 기록할 것인가를 보면 4~5월 올해(20년) 기저효과로 인해 수출이 30%대 급증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마어마하군요.

만약 2021년 수출이 2019년 미중무역전쟁 참화/일본경제보복 당시 수준정도만 기록하여도 10월까지 수출은 전년동기비 +8.8% 증가하는 고무적인 성과를 기록하게 됩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가을 이후에는 수출 증가율이 크게 낮아지게 됩니다.

 

두번째로는 2018년 수준으로 수출이 회복되었을 때를 보았습니다. 4~6월에는 30~40%대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하면서 10월까지 수출은 전년대비 21%증가한 수준을 기록하게 됩니다.

 

보통 필자는 러프하게 상장사들의 매출 실적이 수출증감률에 절반정도 증감률을 만든다고 봅니다. 그런데 수출이 만약 2019년 수준 또는 2018년 수준으로 회복한다면 대다수의 기업들의 매출액은 5~10%대의 큰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고 종목 단위에서는 매출이 전년동기비 50%이상 폭증하는 기업들도 비일비재하게 관찰될 것입니다.

 

 

ㅇ 대부분의 상장사가 성장주!!! 등극

 

따라서 2021년에는 대부분의 상장기업들이 성장주로 인식될 것입니다. (2022년 이후는 그 때 가서 생각하시지요)

기저효과에는 사람들의 망각도 작용합니다. 작년에 나쁜일이 있었음을 망각하고 올해 전년비 성과 그 자체만으로 시장을 보는 특징이 있습니다.

결국 2021년 상장사 대부분은 수출 회복 속에 전년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그 이전까지 찾아보기 어려웠던 성장을 다시 찾게 될 것입니다. 

특히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생존을 위해 비용절감, 경영효율화 등으로 고정비용을 낮춘 상황이기에 매출 증가분은 그대로 영업이익/순이익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매출증가율 5~10%정도인데도 당기순이익 100%, 1000% 증가하는 기업들이 속출하고 ROE 또한 급격히 높아지면서 한국증시에 대한 재평가가 나타나고 있을 것입니다.

RIM공식을 간단하게 변환하여 적정PBR을 ROE÷요구수익률(Ke)라 정의한다면,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이 ROE가 낮기에 PBR레벨이 1도 안되는 헐값으로 취급받았다면

2021년에는 갑자기 튀어오른 ROE 값으로 인해 PBR레벨이 1수준을 훨씬 뛰어넘을 것입니다.

 

특히 주식시장이 상승하면 Ke(요구수익률)도 낮아지고 있을 것입니다. 미국증시에서 지난 10년간 나타났던 것처럼 말입니다. 적정PBR= ROE÷요구수익률(Ke) 에서 ROE가 높아지고 Ke값이 낮아진다는 것은 상상이상의 상황이 2021년 발생할 수도 있음을 암시합니다.

 

예를들어 요구수익률 8%정도를 받던 기업A가 올해 ROE가 2%였다면 PBR이 0.25배 정도로 박하게 취급받겠지만

내년 2021년 순이익이 400%급증하면 ROE는 10%가 되어 PBR은 1.25배 수준에 이를 것입니다. 

그리고 요구수익률 또한 8%에서 6%로 낮아진다면 PBR레벨이 1.67배에 이르겠군요. 그말은 주가가 상상이상의 상승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이 대부분의 상장사에서 관찰되고 있을 것입니다.

 

2020년 11월 11일 수요일, 물론 한번씩 시장은 출렁거리고 투자자들은 공포에 떨 것입니다.

lovefund이성수 (유니인베스트먼트 대표, CIIA charterHolder)

[ lovefund이성수의 투자철학을 함께하세요, 어떻게?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