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43 반복되는 증시 약세로 인해 잊혀지는 것들 반복되는 증시 약세로 인해 잊혀지는 것들 2월에 이어, 3월 첫 거래일 증시가 크게 하락하면서 투자심리가 갑자기 추워진 날씨처럼 얼어붙고 있습니다. 약세장이 찾아오면 왜 그리도 악재들은 약속이라듯 한 것처럼 연이어 터지는지,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장기금리가 상승하고 이로인하여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작된 2월 약세장, 그리고 이에 이어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묻지마식의 무역전쟁 선언. 증시 참여자들이 공포감에 휩쌓이기에 딱 좋은 분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런 약세장이 시작되면 사소한 악재들도 날카로운 바늘이 되어 투자심리를 뒤흔들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약세장 분위기는 투자자들이 연초에 생각 했던 증시 재료들을 모두 망각하게 하겠지요... ㅇ 주식시장이 하락하면 나타나는 심리 .. 2018. 3. 2. 인플레이션 시대로의 회귀, 주식시장에 미칠 영향은? 인플레이션 시대로의 회귀, 주식시장에 미칠 영향은? 3~4년 전만 하더라도, 전 세계는 아무리 돈을 풀어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디플레이션 시대에 있었습니다. 경제에 있어서 물가 하락세는 새로운 표준(New normal)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을 정도로 디플레이션과 마이너스 금리가 고착화되어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6년부터 미국부터 시작된 소비자 물가의 회복세는 전세계로 확산되어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시대의 복귀 과연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생각 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ㅇ 일상 생활에서 실감하는 수준에 이른 물가 상승. 여의도의 점심 밥값을 보면 6000원 정도면 싼수준, 7000원 정도의 가격이면 보통 수준입니다. 8000원부터는 비싼 느낌이 드는 점심 값입니다. 어제 우연히 .. 2018. 1. 5. 최저임금 인상을 보며 생각하는 주식시장. 최저임금 인상을 보며 생각하는 주식시장. 2018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7530원으로 16.4%인상되었습니다. 11년만에 최대치이다보니 왈가왈부 여러 의견들이 뉴스와 SNS상에 넘치고 있습니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의견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부정적으로 분석하는 내용들도 많고 중립적인 관점에서의 의견도 강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경제에 미칠 긍정론,부정론 모든 관점을 차치하고 제3의 관점에서 최저시급 인상이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오늘 글에서는 생각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ㅇ 긍정론, 부정론 "네 말도 옳고 너의 말 모두 옳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향에 대하여, 긍정론과 부정론이 첨예하게 그리고 감정적으로 대립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관점에서는 최저 임금인상에 따른 영세사업자들의 연쇄 도산 우려를 중점.. 2017. 7. 17. 적당한 인플레이션, 증시에 잠재적 모멘텀을 제공한다. 적당한 인플레이션, 증시에 잠재적 모멘텀을 제공한다. 불과 1~2년 전만하더라도 글로벌 경제는 디플레이션 국면에 들어왔다는 이야기가 자주 언급되었습니다. 물가가 하락하는 상황인 디플레이션, 그러다보니 마이너스 금리를 당연시하기 시작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물가추이를 보다보면 디플레이션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직은 미지근한 수준이긴 합니다만 디플레이션 우려에서는 벗어나면서 인플레이션 국면으로 서서히 들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된다면 주식시장은 장기적인 골디락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ㅇ 골디락스 : 너무 뜨겁지도 그렇다고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경제 상황 골디락스는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에서 유래된 경제 용어입니다. 동화의 주.. 2017. 6. 2.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