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플레이션43

적절한 인플레이션이 가져다 주는 긍정적인 효과 적절한 인플레이션이 가져다 주는 긍정적인 효과 필자의 지인이 문자메시지를 통해, "인플레이션 그리고 셀레임"이란 표현을 통해 물가 상승기에 대한 느낌을 필자에게 전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중고등학교시절 교과서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로만 언급된 인플레이션은 디플레이션으로 접어들지도 모르는 현재에는, 오히려 모든 국가들이 원하는 대상이 되었습니다. 특히 적절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와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는데, 왜 그러한지 오늘 글을 통해 생각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ㅇ 과도한 물가 상승은 독(毒)이지만, 적절한 물가상승은 득(得) 지금 학생들도 그렇게 배우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중고등학교 경제관련 과목에서는 인플레이션은 경제를 망치는 독(毒)으로 설명되어지곤 하였지요. 대표적인 사례가 .. 2017. 1. 9.
글로벌경제 회복세 가시적으로 보이기 시작하는데 한국증시는? 글로벌경제 회복세 가시적으로 보이기 시작하는데 한국증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는 암울함 그 자체였습니다. 회복되려는가 싶으면 유럽위기가 터지고, 또 다시 회복하려는가 싶으면 산유국 위기설이 등장하기도하였고, 회복하려는가 싶으면 이머징국가들의 경제혼란이 터져왔습니다. 악순환의 반복 속에 글로벌 경제는 암울함 그 자체였습니다만, 최근들어 글로벌 경제의 회복세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ㅇ 글로벌 경제는 인플레이션을 원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도 오랜기간 침묵에서 벗어나고, 자료 : FRED]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가 회복하지 못하면서 나타난 현상 중에 하는 바로, 디플레이션이었지요. 글로벌 부동산가격 하락이 만든 파상생품들의 몰락, 이로 인한 유동성축소는 디.. 2016. 12. 1.
적절한 인플레이션, 주식시장에 필요하다 적절한 인플레이션, 주식시장에 필요하다 미국 연준의 금리동결 그리고 일본은행의 본원통화 확대 소식으로 주식시장에 온기가 불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연준과 일본은행의 발언 속을 보다보면 인플레이션 2%수준이라는 가이드라인을 개념적으로 그려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과하지 않은 적절한 수준인 2% 물가상승률은 주식시장에 은근한 에너지로 작용할 수있습니다. ㅇ 디플레이션 시대,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그리워지다. 2008년 금융위기 이전만 하더라도, 세계 중앙은행들은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경계하였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과거 1차대전 후 독일이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경제가 파탄지경에 이르렀었고, 일본 또한 1930년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군부가 득세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연준 뿐만 아.. 2016. 9. 22.
좀비기업들의 재무리스크가 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 좀비기업들의 재무리스크가 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 작년 연말, 금감원은 대기업 368곳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대상 19개사를 선별하면서, 좀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다시한번 이슈화 되었습니다. 간신히 숨만 붙어있는 기업에 돈만 쏟아붙는 것은 국가 경제 건정성을 악화시키기에 구조조정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회사채 이슈가 간헐적으로 터지면서 시장심리를 얼어붙게 하며, 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악재로 등장할 것입니다. ㅇ 회사채 스프레드는 계속 확대되고 있는 상황 회사채와 국고채와의 스프레드(회사채금리 - 국고채 금리)의 확대는 회사채의 명목금리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기업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명목금리↑ = 기업리스크프리미엄↑ + 실질금리 + 인플레이션 어느 정도 .. 2016.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