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147 한국 증시 왜 강한가? 미국증시 연이틀 급락에도 불구하고... 한국 증시 왜 강한가? 미국증시 연이틀 하락에도 불구하고... 한국증시 참으로 강하지요? 미국증시가 목/금요일 급락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증시는 지난 금요일 선방하였고 오늘도 꾸역꾸역 상승하고 있습니다. FAANG기업 및 주요 미국 기술주 급락 속에 미국증시가 급락한 최근 상황을 비추어보면 한국증시는 더 크게 폭락해야할듯 한데, 정말 강합니다. 과거와 달라진 한국증시... 어쩌면 미국vs이머징 관점에서의 10년 주기설이 맞아떨어지는 과정일 수도 있습니다. ㅇ 어? 한국증시 왜 이러지? 미국이 기침하며 한국은 독감걸려야하지 않나? 과거부터 한국증시는 체력이 약하다는 표현을 많이 들어왔습니다. 미국증시가 기침하면 한국증시는 독감걸려있다는 비유가 있을 정도로 한국증시는 미국증시보다 체력이 약하다는 고정관.. 2020. 9. 7. 증시 조정과 상승장은 공존하는 야누스. 코로나 확산억제와 종식만이 답 증시 조정과 상승장은 공존하는 야누스. 코로나 확산억제와 종식만이 답 오늘 날씨 정말 화창합니다. 하루전만하더라도 태풍 때문에 무서운 얼굴을 하던 하늘이 언제 그랬냐는듯 눈부신 햇살을 비추니 말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조정장도 날씨처럼 두개의 얼굴을 가진듯 합니다. 환호속에 흥분이 가득했다가도 갑자기 급변하여 태풍처럼 무서운 얼굴을 내보이기도 하니 말입니다. 그런데 이는 어쩔 수 없는 과정입니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마음이 편해지기 위해서는 코로나 확산이 억제되고 종식되어야만 하기 때문이지요. ㅇ 기대감에 올라왔다면, 실망감도 생길만 하다. 3월 코로나 쇼크 이후 전 세계 증시는 넘치는 유동성 속에 최악을 경험하였으니 이제는 턴어라운드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번 여름까지 화려한 랠리가 이어졌습니다. 미국.. 2020. 9. 4. 자산인플레이션 시즌2,주식시장과 모든 투자자산에 몰리는 돈 자산인플레이션 시즌2,주식시장과 모든 투자자산에 몰리는 돈 보통 우리가 인플레이션이라하면 생필품 가격과 같은 소비자물가를 떠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다른 개념의 인플레이션을 추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자산인플레이션입니다. 과거에는 유동성이 폭발하면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지만 지금 이 시대는 유동성이 소비자물가를 자극하기 보다는 자산가격을 자극하는 현상이 더 강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더 가속화된 자산인플레이션 시대 우리는 그 중심에 서 있습니다. 그리고 시즌2가 시작되려 합니다. ㅇ 소비자물가 타겟 2%목표 : 과거와 달리 올리지도 못하는 세상 소비자물가(CPI) 상승률 2%는 미국 연준이든 한국은행이든 중요한 물가 관리 기준으로.. 2020. 7. 21. 수출입동향 자료를보다 든 생각 :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수출입동향 자료를보다 든 생각 :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매달 10일, 20일 그리고 월말일을 보내고 다음날 관세청의 수출입동향 자료가 바로 올라옵니다. 전 세계에서 수출입동향이 월단위도 아닌 10일 단위로 리얼타임으로 올라오는 국가는 한국 밖에 없다해도 과언이 아니기에 이 자료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지요. 특히나 코로나19 사태 이후 수출입동향은 매우 중요한 정보를 시장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위축 그리고 제자리로 돌아가는 과정을 말입니다. ㅇ 지난 봄, 코로나19 사태가 만들었던 쇼크 그리고 이제는 거의 제자리 코로나19 사태가 전격적으로 전 세계를 뒤덮으면서 3월 증시 대폭락장은 향후 경제 침체를 선행하여 암시하였습니다. 마치 날카로운 칼로 수박을 내리 치듯 .. 2020. 7. 1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