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시장379

외국인 투자자, 언제 다시 컴백할까? 그 전제 조건. 외국인 투자자, 언제 다시 컴백할까? 그 전제 조건. 외국인의 매도세는 매일 같이 이어지면서 시장에 은근한 압박을 계속 가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3월 말 이후 반등 과정에서 외국인의 매도세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반등하였다고는 하지만 증시의 큰 흐름을 잡는 외국인의 부재는 이번 반등에 대한 아쉬움을 남기게 됩니다. 집나간 외국인투자자 그렇다면 과연 언제야 컴백하게 될까요? "외국인!!!! 가출한 것 용서해줄께, 컴백홈~" ㅇ 2020년 올해에만 20조원 넘게 순매도한 외국인 외국인의 올해 매도 규모와 속도는 역대급 수준입니다. 물론 2008년 금융위기 때 코스피+코스닥 양시장에서 36조원대에 이르는 순매도를 보이긴 하였습니다만, 단 4개월도 안되는 기간에 코스피+코스닥 양시장에서 20조원이 넘는 순매도를 만.. 2020. 4. 22.
김정은 건강 이상설에 요동치는 증시 : 대북 이슈 기대치가 녹아있던 증시 김정은 건강 이상설에 요동치는 증시 : 남북화해 기대치가 녹아있던 증시 원래 오늘 증시토크는 다른 주제로 준비했었습니다만, 갑자기!!! 김정은 심장수술 후 심각한 상황이라는 뉴스가 쏟아지면서 증시는 3월 폭락장을 마주하듯이 순간적으로 큰 쇼크에 빠졌습니다. 특히나 CNN에서 김정은 건강이상설 관련 뉴스가 나오니 투자자들의 반응도 순간적인 패닉에 빠진듯 합니다. 사실여부는 지켜봐야하겠습니다만, 이번 증시 급등락 반응 속에서 주식시자에 녹아있는 남북관계 개선 기대치가 어느정도인지 가늠해 볼 수 있겠습니다. ㅇ 북한 김정은 건강이상설 : 순간적인 쇼크를 증시에 던져주었고. 북한 김정은이 심장수술 후 회복이 안되고 있다는 뉴스기사가 CNN방송을 통해 나오면서 오늘 오전장 단 30분만에 종합주가지수는 전일대비 -.. 2020. 4. 21.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와 증시, 큰 축이 아시아로 기울까? (IMF 경제전망을 보고)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와 증시, 큰 축이 아시아로 기울까? (IMF 경제전망을 보고) 최근 IMF에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자료를 발표하였습니다. 올해에는 그 어느 때보다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와 증시 충격이 컸다보니 IMF의 세계경제전망 자료에 관심이 집중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예상대로 2020년 세계전망에 대한 관점은 매우 부정적입니다. 그런데 그 안에 전망치를 파고들어가보니 저는 다른 관점이 보이더군요. 이번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 경제와 증시의 큰 축이 10여년 만에 다시 아시아로 기울어지는 것은 아닌가라는 관점을 말입니다. ㅇ IMF의 세계경제전망, 2020년 어두운 것은 맞다. [자료 참조 : IMF] IMF가 4월 14일자로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 따.. 2020. 4. 16.
경제상황이 심각한데 주식시장은 왜 폭락하지 않는가? 이대표!알려줘 경제상황이 심각한데 주식시장은 왜 폭락하지 않는가? 이대표!알려줘 요즘 이런 질문을 정말 많이 받습니다. 실물 경기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어 가게들이 월세를 못내는 지경으로 심각한데, 이상하게 주식시장은 경제를 반영하지 않고 너무 강하다는 질문을 하루에 몇번씩 받곤 합니다. 분위만보면 또 한번 대폭락이 나와야할 정도로 사람들의 상황이 좋지 않은데 증시가 왜 이렇게 버티는 것일까요? 억지로 버티는 것일까요? 제가 봐도 예상 외로 잘버티는 듯 합니다. 그 이유는 생각보다 쉬운 주식시장 원리에 있습니다. ㅇ 주식시장은 경기에 3~6개월 선행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주식시장과 경제는 같이 동행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자본시장의 꽃이라 불리는 주식시장은 돈들이 빠르게 움직이는 곳이기에 경제상황보다 먼저 움직.. 2020. 4. 14.